좌절로부터 빠르게 회복하는 방법

김소라

시련과 고난 앞에서 무너지지 않고 나를 지키는 방법, 회복탄력성에 관하여

2년 전 직장에서 오랜 기간 준비했던 프로젝트가 산산조각 나는 경험을 한적 있다. 꽤 많은 예산, 투입된 많은 인력, 야근을 통해 준비한 기획안과 프레젠테이션 등등. 완성된 결과물이 세상에 나오지조차 못하며 한동안 심리적으로 괴로웠고, 자존감마저 무너지는 경험을 했었다. 그때 옆자리 앉아있던 선배가 했던 말이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다.

“이 업계에서 오래 버티려면 회복 탄력성이 있어야 해.”

회복과 탄력이란 이질적인 단어의 조합이 뇌리에 박혔다.

Getty Images

회복탄력성이란 말 그대로 본래 있던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힘을 일컫는 말이다. 심리학 분야에서는 주로 시련이나 고난을 이겨내는 긍정적인 힘을 의미하는 말로 자주 쓰이고 있다. 학자들은 회복탄력성을 주로 스트레스나 역경에 대한 정신적인 면역성, 역경을 성숙한 경험으로 바꾸는 능력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좀 더 풀어 설명하자면 회복탄력성이란 곤란에 직면했을 때 이를 극복하고 환경에 적응하여 정신적으로 성장하는 능력으로 볼 수 있다.

잦은 퇴사와 이직, 동료나 상사와의 불화 등 직장 생활에서의 스스로를 되돌아보았을 때, 나는 회복탄력성이 꽤 취약한 사람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는 직장 생활 가운데 꽤 많은 역할과 임무 수행, 높은 성과, 치열한 경쟁에서의 승리 등을 알게 모르게 강요받는다. 그럴 때마다 더 강해지거나 단련되는 것이 아닌 오히려 상처받고 움츠러들며 일의 잘못을 내 탓으로 돌리는 습관이 나도 모르게 형성되었다.

책 <회복탄력성>에서는 서문에 이렇게 말한다. “회복탄력성을 약화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부정적 정서는 두려움이다. 두려움에서 좌절감이 나오고 좌절감에서 분노가 싹튼다.” 이 문장에 지난 10여 년간의 나의 직장 생활 분투기가 압축되어 있는 느낌이 들었다. 김주환 저자는 “실패에 대한 어떤 두려움도 없는 상태가 곧 회복탄력성을 지닌 상태”라고 설명한다. 변화하는 상황에 알맞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 회복탄력성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김주환, <회복탄력성>, 위즈덤하우스

돌이켜보면 나는 성공에 늘 집착하며 살아왔다. 하지만 그 성공의 기준은 늘 나 스스로뿐만 아니라 남들에게 인정받아야만 한다는 강박관념이 깊게 침투해 있어왔다. 실패를 극도로 두려워하고 오직 성공과 박수만이 나의 존재 가치를 인정받는 길이라고 믿어온 마인드가 어떻게 보면 회복탄력성의 작동을 가로막아왔던 것 같다. 회복탄력성이 낮아질수록 나는 스스로를 자책하거나 나의 일을 가로막은 사람들을 미워하거나 질투했으며, 때로는 공격적인 면모로 주변 사람들 지나치게 경계하기도 했었다. 그럴수록 나 자신이 더욱 싫어졌고 돌이킬 수 없는 세계로 많이 빠지기도 했었다.

어떻게 하면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일까? 전문가들은 자기조절 능력대인관계 능력을 핵심 키워드로 뽑는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모두 아우르는 더 중요한 가치는 바로 긍정적인 정서를 키우는 것이다. 책 <회복탄력성>에서 말하는 행복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정의는 많은 것들을 생각해 보게 한다. “행복은 능력이다. 행복은 긍정적 정서를 통해 자신을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이며, 또한 타인에게 행복을 나눠줌으로써 원만한 인간관계와 성공적인 삶을 일구어내는 능력이다.”

무엇보다 놀라운 사실은 이러한 행복한 마인드 셋은 충분히 훈련을 통해서 가능 하다는 점이다. 인간의 뇌를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변화할 수 있으며, 긍정적 정서가 습관화된 사람은 행복의 기본 수준도 높다고 알려져 있다. 회복탄력성의 다른 말은 곧 ‘행복의 자동온도조절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불행과 행복은 충분히 우리 스스로 컨트롤할 수 있는 영역이며, 특히 낙관성은 인생에 대한 두려움을 막아줄 수 있는 방패 같은 존재다.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키워나가는 것 또한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름길이다. 너무 뻔한 말 같지만,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그 어떤 시련과 고난 앞에서도 모두가 무너지지 않도록 긍정의 창과 방패를 찾기를 바란다.

자존감에 흔들리지 않는 방법

스트레스를 가장 빠르게 푸는 방법

프리랜스 에디터
김소라
사진
위즈덤하우스, Getty Images

SNS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