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혹시 테크 넥?
휴대전화, 태블릿,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점점 늘면서 불편해진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죠. 머리를 아래로 기울인 자세로 오랜 시간 있다보니 근육에 부담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목이 뻣뻣해지고 심하게는 고통을 느끼기도 하는데요. 이는 목 근육에 지속적인 긴장으로 인한 만성 목 통증, 일명 테크 넥 전조 증상입니다.

테크 넥은 목 근육을 늘리고 가슴 근육을 줄여서 목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하고 어깨를 처지게 하는 굽은 자세를 유발하는데 이로 인해 어깨와 목의 통증을 느끼게 되는 거죠. 척추에 계속해서 압력이 가해지면 신경이 압박되고 우리는 목 통증 뿐만 아니라 허리, 손이 마비되거나 따끔거림까지 발생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목의 통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육을 손상시키고 신경 압박과 디스크 탈출 등을 초래 하기도 하죠.
실제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휴대전화 사용 시간이 많은 이들이 목 통증이 더 심하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렇다고 휴대폰 사용을 줄이거나 일을 안할 수도 없는 노릇. 테크 넥을 예방하는 바른 자세가 시급합니다.

테크 넥을 예방하는 자세
휴대폰을 눈높이에 두어 아래를 내려다보거나 목을 구부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때 의자에 앉으면 이 자세를 유지하기 더 쉬워요. 전자 제품을 사용하는 중에는 한번씩 일어나서 휴식을 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하니 틈틈이 일어나서 스트레칭을 해주면 더 좋겠죠. 아니면 건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스탠딩 데스크나 자세 교정기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1. 눈에서 20~30인치(팔 길이 정도) 떨어진 곳에 화면을 둔다
2. 컴퓨터 모니터나 노트북 스탠드를 활용해 화면을 적절한 높이로 높이거나 책을 쌓아 놓는다
3. 머리, 엉덩이, 척추를 겹쳐 앉는다
4. 손목은 똑바로 세우고 팔꿈치는 약 90도 각도로 구부린다
5. 무릎은 엉덩이와 일직선 상에 두고 발은 바닥에 평평히 놓는다.

따라해봐요, 테크 넥 방지 스트레칭
의자에 앉아서 목을 풀어주는 자세
1. 앉거나 똑바로 서서 두팔을 몸 옆에 늘어뜨린다
2. 머리를 오른쪽으로 기울인 다음 오른손을 머리 위로 올리고 오른손 중지를 왼쪽 귀에 올려놓는다
3. 오른팔에 몸무게를 실은 채 머리를 천천히 오른쪽으로 당긴다
4. 5초간 기다렸다가 놓는다
5. 왼쪽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한다
어깨 스트레칭
1. 발을 어깨 너비로 벌리고 서서 앞을 바라본다
2. 손을 등 뒤로 끼고 엄지 손가락이 바닥을 향하도록 손을 아래로 당기고 가슴을 열어준다
3. 이두근과 어깨 근육이 늘어나는 것이 느껴질때까지 손을 천장쪽으로 당겨준다
4. 손을 시작 위치로 내리기 전 5초간 유지한다.
- 사진
- Pex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