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서 유행하는 ‘물 단식’, 정말 괜찮을까?

최수

열흘 넘게 물만 마셨어요

요즘 SNS에서 심심치 않게 보이는 물 단식, 들어 본 적 있으신가요? ‘물 단식’은 오직 물과 소금만을 섭취하는 다소 극단적인 식이 요법을 의미합니다.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한 달까지 단식을 이어가며 체중 변화를 인증하는 게시글에는 구체적인 방법과 후기를 요청하는 동경의 댓글들이 이어지죠. 간헐적 단식에 이은 새로운 단식 요법이 유행으로 떠오른 것인데요. 아무리 공복이 건강에 좋다지만, 장기간 단식을 이어가는 이들의 모습이 어쩐지 불안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오랜 시간 식사를 거르는 것은 우리 몸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까요? 혹시 뼈가 보일 정도로 마른, 일명 ‘뼈말라’에 대한 비정상적인 이상향이 다소 극단적인 식이요법으로 번진 것은 아닐까요? 지워지지 않는 의심과 우려 속 단식에 대한 명료한 사실을 모아봤습니다.

모두가 인정하는 단식의 정화효과

단식은 우리 몸을 정화합니다. 단순히 체중을 감량하는 것 외에도, 신체의 메커니즘을 새롭게 바꾸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요. 전문가들은 단식을 유지하는 시간에 따라 체내 작용이 달라진다고 설명합니다.
우선, 음식을 섭취하지 않고 12시간이 지나면 체내 케톤 수치가 높아지며 몸의 지방을 연소하기 시작합니다. 우리 몸의 지방이 분해 되려면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모두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최소 8시간에서 12시간 이상의 공복시간이 필요하거든요. 긴 공복시간을 통해 탄수화물이 아닌 지방을 태우는, 일종의 대사 전환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세포의 연료원이 지방으로 바뀌는 것만으로도 뇌 신경망 기능이 개선된다는 효과가 입증되기도 했죠.

단식을 한 지 18시간이 지나면 체지방 연소율이 더욱 증가하고, 단식 24시간이 되면 지방 연소율은 50% 이상에 다다릅니다. 그리고 단식한 지 만 하루가 지나면, 일명 ‘자가 포식 활동’이 활성화되죠. 사람들이 단식을 통해 기대하는, 진짜 다이어트가 시작되는 순간입니다. 체내에 노화된 단백질과 세포들이 청소되는 시간으로, 신체를 정화하고 해독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식의 효과는 72시간까지 계속됩니다. 하지만, 이 시점을 지나면서부터는 지방 연소율 등 단식의 긍정적인 효과가 감소세로 접어들게 됩니다. 전문가들이 3일 단식을 권하는 이유입니다.

단식은 모두의 식이요법일 수 없기에

때에 따라 단식은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나 임산부, 성장기 학생들은 몸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체중 조절이 필요할 경우 다른 식이 요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3일 이상 넘어가는 중장기 단식은 전문가의 조언과 지도가 필요하죠. 질병으로 복용 중인 약이 있다면 담당 의사와의 상담도 필수입니다.

3일 넘게 물과 소금만 섭취하는 물 단식 유행에 대해서 전문가들의 우려는 우리의 예상보다 더 지대합니다. 여성의 경우 무월경증, 섭식장애, 나아가 골다공증의 위험까지 높일 수 있음을 경고하는데요. 최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선 물 단식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물 중독’을 꼽기도 했습니다. 물 중독은 과도한 수분 섭취로 혈액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고, 세포 내 수분량이 증가해 발생하는 중독 현상입니다. 부종, 발작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죠. 또한 물 단식을 통해 체중을 감량할 경우, 근육량이 함께 소실되어 기초대사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살이 찌기 쉬운 체질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 미네랄 워터와 영양제로 물단식을 이어가기도 하지만, 우리 몸은 단백질과 지방 등 여러 영양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영양 결핍을 해결하기엔 역부족입니다. 그럼에도 단식에 도전해 보고 싶다면, 간헐적 단식부터 시작해 보시길 권합니다. 공복 유지를 12시간부터 시작해 14, 16, 18시간까지 점차 늘려가며 우리 몸을 적응하게 하는 것이죠. 간헐적 단식에 익숙해졌다면, 그다음엔 격일 단식에 시도 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단식은 최대 연속 3일까지만 권하며 이 또한 자신의 컨디션을 잘 살피며 진행해야 합니다. 단, 당뇨환자나 임산부, 기저질환으로 약을 복용 중이거나 속쓰림이 평소 잦은 사람이라면 단식 요법이 치명적인 독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사진
Getty Images

SNS 공유하기